Q. 프로젝트를 소개해 주세요.
Send Box는 택배비로 일주일이 행복해지는 서비스입니다.
- 기업은 신제품이나 리뉴얼된 제품의 샘플을 택배비로 판매합니다.
- 소비자는 샘플을 구매하고 리뷰를 남길 수 있습니다.
- Send Box는 소비자의 리뷰와 통계를 주기적으로 기업에 전달합니다.
- https://github.com/f-lab-edu/send-box/wiki
Q. Ncloud에서 어떤 서비스를 활용하셨나요?
- Public IP
- Software
- Server (VPC)
위 3가지를 사용하였습니다.
Q. Ncloud 서비스를 어떻게 적용 하였나요?
- 저는 온프레미스 서버를 사용할 수 없어서 네이버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였습니다.
타 클라우드와 다르고 한글로 작성되어있지만, 서버를 설정할때 다른 점이 있어서
구글링을 통해 다른 개발자들이 적용하는 방법을 따라서 서버를 개설하였습니다.
이후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 공개 IP를 추가하였습니다.
Q. Ncloud 사용 중 특히 만족했던 점과, 아쉬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1) 만족했던 점
- 한글이라서 별도의 번역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 설정이나 추가 개설에 대한 설명이 잘 되어있어 읽어보고 설정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대쉬보드가 한글이고 결제 내역이 한 눈에 들어와서 관리하기가 편했습니다.
- 프로모션이나 결제에 대한 내용을 예측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서버에 대한 낭비를 막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2) 아쉬웠던 점
- 다만 다른 클라우드 서버와 다르게 설정에 대한 정보가 많지가 않아서 관련된 설정을 찾는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Q. Green Developers 프로그램 참여 소감 말씀 부탁 드립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참여하게 되면서 네이버가 얼마나 클라우스 서비스와 AI 서비스에 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리고 한국 사람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UI와 UX가 되어있어서 만족하면서 사용했습니다.
가상 서버외에도 다른 서비스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니 흥미가 생겼고 프로젝트를 확장하면서 다른 기능도 사용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많아졌습니다.
Q. 마지막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
간단한 서버를 하나 개설하고 자바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일이라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려웠던 기억은 많이 없습니다.이후에 네이버 클라우드 기능중 AI 기능이 있는데 거기서 본인이 학습시키거나 AI가 알아서 글의 내용을 요약해주는 기능도 있다는 것을 알고 추후 프로젝트에 도입해서 사용해보려고합니다.